기수역 복원에 전념하자
기수역 복원에 전념하자
  • 편집국 기자
  • 승인 2009.02.07 11:53
  • 호수 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말 정부가 ‘4대강 살리기’ 사업 본격 추진을 천명하면서 4대강을 낀 지자체들은 순식간에 개발 열풍에 휩싸였다. 너도 나도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 그림들은 대부분 비슷하다. 제방 보강, 천변저류지, 생태복원 등 종합적정 비로 홍수 및 가뭄에 안전하면서도 활용도 높은 하천공간 조성하겠다고 하고 있다.

이들 그림에서 찾을 수 있는 핵심 키워드는 ‘생태’와 ‘녹색’이다. 생태하천, 생태공간, 녹색성장, 녹색 일자리 등의 단어는 이들 그림책에서 만나는 가장 흔하디 흔한 어휘이다. ‘생태’는 때로는 ‘에코(eco)'라는 영어로 대체되기도 한다.

작년 12월 30일 낙동강변에서 마침내 첫 삽질이 시작됐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이후 4대강 본류 한 자락씩 끼고 있는 지자체들은 신바람이 났다. 도 단위로 큰 그림들이 그려져 언론에 대서특필됐다. 충남도에서 논산, 연기, 공주, 부여, 서천의 금강 본류가 관통하는 주변에 5조원이 넘는 사업비를 들이붓는 그림을 그려 발표한 것이 1개월 전이다.

그런데 참으로 이상한 일이다. 지난 4일 국토해양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직원들이 화양면사무소에서 금강하류지역 제방 보강사업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들은 하루 두 번 씩 드나들던 갯물을 밀어내 농지로 바꾼 제방의 안전성을 걱정하면서 이의 보수와 보강작업을 설명하였다. 그러면서‘ 4대강 살리기 사업’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러한 설명회가 있은 지 하루 만에 군은 금강살리기 사업을 본격화하겠다고 나섰다. 그 내용은 금강하구 기수역 복원과 금강하구 생태라인 조성, 하천연장 및 주변 환경정비 사업, 서천 에코 벨로(eco-velo)사업 등이다. 이를 위해 장항에서 신성리 갈대밭에 이르는 12km 구간에 폭 50미터의 제방을 쌓자고 제안하고 있다. 하루 전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직원들의 말을 들은 사람들은 혼란을 느낄 법하다.

수많은 철새들이 도래하는 금강하류 지역을 시멘트로 발라 자동차가 다니고 자전거가 다니게 하자는 것이다. 이것은 금강 살리기인가 죽이기인가. 장구한 역사를 통해 밀물과 썰물의 리토르넬로가 낳은 문화가 간신히 제방 아래 엎드려 있는데 이를 마저 매장시키는 수퍼 제방을 쌓으면서 무슨 문화역사관을 짓겠다는 것인지 알 수 없다.

사방이 온통 논으로 돼있는 솔리천을 금강호와 연결해 습지를 만들겠다고 한다. 그러나 논은 이미 람사르총회에서도 인정받은 습지이다. 더구나 짠물과 민물이 섞이는 기수역을 복원한다면서 논에 짠물을 집어넣겠다는 것은 무슨 심사인가.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지역 경제를 오히려 피폐케 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수백억, 수천억이 투입되는 대부분의 국가사업의 경우 1군 건설업체 위주의 시공업체 선정으로 될 수밖에 없어 국내 100대 건설업체들의 배만 불리는 결과만 낳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 서천 주민들이 오랜 기간 동안 갈망해온 기수역 복원에만 전념할 때이다. 어쩌면 좋은 기회를 놓쳐버릴 수도 있다. 이미 금강호의 물은 나포양수장을 통해 만경강 수역으로 넘어가고 있다. 새만금사업으로 호남 민심을 잡으려는 한나라당 정권이 금강호의 물을 더 빼내갈 가능성도 있다. 이것부터 확실하게 막고 금강하굿둑 갑문을 생태계의 변화를 보아가며 서서히 개방하는 방안을 연구해햐 한다. 물론 서천의 들녘에 필요한 농업용수 공급에 대한 연구 검토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