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수첩-서천에서 보는 ‘평창’
■ 기자수첩-서천에서 보는 ‘평창’
  • 허정균 기자
  • 승인 2011.07.19 10:11
  • 호수 57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7일 2018년 동계올림픽이 강원도 평창에서 연다는 국제올림픽위원회의 발표가 있던 날 스키나 스케이트에 별 관심이 없는 대부분의 서천 사람들은 마침내 유치에 성공했다는 내용의 드라마처럼 엮은 텔레비전 뉴스를 수십분간 지켜보아야 했고 그 이튿날 아침에도 이 소식을 보고 또 보아야 했으며 ‘평창’으로 도배질한 중앙일간지를 접해야 했다.


한결같이 동계올림픽 유치가 파생시킬 경제효과가 수십조원이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서울에서 평창까지 고속철도가 놓인다는 소식도 있었다.
2018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17일 동안 열리는 동계올림픽에 구경을 나서는 서천 사람들도 있겠지만 이 일이 서천 뿐만 아니라 전국민이 환호작약할 만한 일인가.


일본 나가노에서 열린 1998년 동계올림픽은 1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재정난을 벗어나지 못하게 발목을 붙잡고 있고 작년의 캐나다 밴쿠버도 100억 달러 정도의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들리는 소문은 경기장 신설을 최소로 줄인 1994년 노르웨이 릴리함메르 동계올림픽만이 적자를 면했다는데 2002년 월드컵 개최 이후 각 도시에 들어선 월드컵 경기장이 애물단지로 전락해 국민 세금만 잡아먹건만 이같은 우려의 목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는다.


새만금사업이 시작되기 전인 1989년 정부는 서천군의 장항갯벌과 전북 군산시의 오식도, 비응도, 가도 등을 매립하여 산업단지로 조성하겠다는 ‘군장국가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하고 군산쪽은 바로 착공에 들어갔다. 그러나 장항쪽은 공사를 시작하지 않아 아직 갯벌이 살아 있었다. 한국토지공사는 기다렸다는 듯 새만금방조제 끝물막이 공사가 끝난지 두 달 후인 2006년 6월 군장국가산업단지 중 445만평의 장항지구 호안공사를 착공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시민단체 등에서 “서해갯벌의 씨를 말린다”며 반발하자 노무현 정부는 장항갯벌의 매립을 포기하였다. 새만금간척사업이 이 땅의 마지막 간척사업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맞아들어가는 듯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갯벌 대신 4대강에 공사판을 벌였다. 4대강사업의 바톤을 평창동계올림픽이 이어받는 것인가.


국내총생산에서 건설관련 부분이 10%를 넘으면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30%가 넘는다 한다. 어디에선가 끊임없이 공사판이 벌어져야 경기가 지탱되는 토건국가가 돼버린 것이다.
일본에 건설족이 있었다. 다나까 가꾸에이 수상이 건설족의 돈으로 수상을 했다. 한국도 그렇지만 일본도 돈 있는 사람이 수상을 하는데 돈으로  선거를 관리하기 때문이다.

이 돈은 각종 토목공사에서 나온다. 이 돈을 위해 억지로 공사판을 벌인다. 하물며 대다수 국민들이 환영하는 공사를 벌이게 됐으니 건설족에게는 이보다 더한 기쁨이 없을 것이다. 일본은 이런 체제가 무너졌는데 한국은 살아있다. 아직도 한국경제는 ‘삽질경제’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