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시장터 / 바나나가 멸종위기랍니다
■ 모시장터 / 바나나가 멸종위기랍니다
  • 박병상
  • 승인 2020.09.24 12:13
  • 호수 1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병상 칼럼위원
박병상 칼럼위원

라틴문학을 세계에 알린 <백 년 동안의 고독>. 마콘도 마을에 정착해 100년 동안 흥하고 망한 가족 이야기를 담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1967년 소설은 1982년 노벨문학상을 받고 선풍적 인기를 누렸다. 깨알 글자로 500페이지 넘는 소설을 몽환적이라 평론가는 칭송했는데, 얼마나 감미롭게 숨넘어가는지, 단숨에 읽을 수 있었다.

<백 년 동안의 고독>에 바나나 농장 노동자 이야기가 나온다. 바나나는 수선화나 튤립처럼 뿌리로 증식시키는 다년생 풀이다. 그 무거운 열매 덩어리를 껍질이 아직 푸를 때 따서 농약 통에 풍덩 빠뜨렸다. 꺼내길 반복하던 노동자들은 망가진 몸을 가누기 어려웠다. 쉬거나 화장실 갈 시간도 부족했고 농약 묻은 손을 닦을 기회조차 없었다. 무엇보다 생계비에 모자랐던 노동자들은 광장에 모여 저항했는데, 모두 사살되고 말았다. 광장을 에워싼 건물 모퉁에서 기관총을 난사한 농장주는 사체를 바다에 내버리고 손을 털었다. 마르케스는 다국적기업의 폭압을 고발한 거였다.

노동자들은 그로미셀 품종을 재배했을 게 틀림없다. 1960년대까지 세계를 풍미했으니까. 그 품종은 이제 자취를 감췄다. 뿌리를 썩게 만들며 창궐하는 곰팡이 때문이지만, 다행인가? 캐번디시가 빈자리를 메웠다. 요즘 우리가 주로 먹는 품종인데, 사실 그로미셀보다 풍미가 덜하다는데, 캐번디시도 같은 곰팡이의 공격을 받기 시작했다. 그러자 바나나가 멸종위기라는 소문이 돈다. 여전히 저렴하게 수입하는지, 마트의 지하 식품매장과 거리의 좌판에 가득한데. 무순 영문인가?

유전다양성이 완벽에 가깝게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필리핀에서 재배하든 파나마에서 재배하든, 뿌리로 분양한 바나나의 유전자는 한 그루처럼 같다. 그래야 생산에서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지배하는 다국적기업은 최고의 효율로 막대한 이윤을 독점할 수 있다. 문제는 같이 먹자 덤비는 곤충이나 곰팡이 같은 존재다. 미리미리 듬뿍 뿌리는 제초제와 농약으로 처리하는 다국적기업도 당황했다. 그로미셀을 쓰러뜨렸던 곰팡이가 더욱 강력해져 다시 나타날지 짐작하지 못했고, 강력한 농약도 소용없었나 보다. 기다렸다는 듯, 폭압을 소환했다. 곰팡이가 조금이라도 보이면 농장을 모조리 불태운다. 과거 노동자를 살해하듯.

기업 이윤을 위해 조상의 유전자 대부분이 제거된 농작물이 파국에 휩쓸리는 운명은 바나나에서 그치는 게 아니다. 세계 소비량의 80%를 점령한 아몬드도 비슷하다. 2월 중순 한꺼번에 꽃 필 때, 꽃가루 수정을 위해 북중미와 남미 그리고 유럽에서 캘리포니아 아몬드밭으로 몰려오는 꿀벌의 운명은 집단붕괴현상으로 이어졌다. 멀쩡해도 구제역 핑계로 살처분하는 세계의 모든 돼지, 근처에 조류독감바이러스가 있다며 죽이는 닭, 오리, 메추리가 그렇다. 기상이변에 맥 못 추는 사람은 어제까지 온전할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