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취재 / 금강하굿둑 해수유통으로 가는 길 (6)갯벌복원 논의 진도 대흥포간척지
■ 기획취재 / 금강하굿둑 해수유통으로 가는 길 (6)갯벌복원 논의 진도 대흥포간척지
  • 주용기 시민기자
  • 승인 2020.10.08 08:52
  • 호수 1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선정한 역간척지…토지 보상문제로 좌절

“후손 위해 필요한 사업…다시 논의 시작하겠다”

주민들이 주도해서 갯벌을 복원하겠다는 뜻이 있었죠” 다른 어떤 지역에서도 꼭 해야 할 일이니까 어떤 형태로든 시작을 했으면 좋겠어요” 지난 920, 갯벌복원(역간척) 사업이 논의되다가 중단된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대흥포간척지를 다녀왔다.

▲대흥포방조제 갯벌복원 대상지
▲대흥포방조제 갯벌복원 대상지

20092월에 당시 국토부(현 해양수산부)가 대흥포방조제를 허물어 간척지인 112의 농경지에 바닷물을 다시 끌어들이는 갯벌복원(역간척)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이곳 대상지는 원래 갯벌이었던 곳으로, 농경지 조성을 위해 1963년에 시작해 1975년에 길이 590의 방조제를 완공하였고, 현재 간척지 65ha가 벼농사를 짓는 논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을 주민 몇 분을 만나서 1970년대 초 갯벌을 간척하던 당시의 상황에 대해 들었다. 그리고 2009년 초 다시 갯벌복원(역간척)을 할 것인지 안할 것인지 결정할 당시의 마을 분위기와 함께 찬성과 반대 입장을 적극적으로 내놓았던 분들의 입장을 들어 보았다.

먼저 만난 주민 A씨는 간척을 하던 당시의 상황에 대해 제가 열다섯, 열여섯 살 때인데 (간척된 곳이) 옛날에는 고기발도 좋고, 바다가 겁나게 좋았어요. 여쪽 사람들은 주로 어업을 한 게 아니고, 전부 염전해서 소금을 해서(만들어서) 먹고 살고 그랬어요. 마을 주변으로 염전이 많았고, 농토가 아주 적어서 가난했어요라고 말했다.

배가 고파서 막은 방조제

▲간척지 논
▲간척지 논

또한 갯벌복원 사업에 대해 적극 반대를 했던 주민 B씨는 간척 당시에 대해 갯벌로 있을 때는 고기, , 낙지 이런 것을 많이 잡았죠. 우리 마을 주변이 간척공사하기 전에는 다 염전이었어요. 그래서 쌀, 나무, 물이 귀했죠. 인구는 한 300명 살았고. 사람들이 배가 고파서 (방조제를) 막았죠. 새마을사업을 할 때 (역간척을 하자고 앞장섰던) 〇〇, 그 분의 할아버지가 목숨을 걸고서 재산을 탕진하면서 (방조제를) 막은 곳이여.

▲갯벌복원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데 앞장섰던 D씨(57세)
▲갯벌복원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데 앞장섰던 D씨(57세)

동네 주민들도 힘을 보태서 함께 만들었어요. 주민들이 장비 하나 없이, 기계 없이 손수 힘으로 해서 (방조제를) 만들었어요. 돌을 산에서 지게로 져서 막고 했으니 얼마나 힘든 역사였겄어요. 1970년대 초에 막았죠. 지금은 (주민들이) 다 농사 위주로 일을 하죠. 그런데 무허가로 했다고(허가 받지를 않고 방조제를 막았다고) 정부에서 다시 (간척지 땅을) 다 산거여. 그때 행정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관심이 없었던 같아요. 방조제를 막아가면서 허가를 득할 수 있는데. 새마을사업으로 한다고 높이 치하해 놓고, 무허가라고 또 돈 내라 하고. 주민들 돈 걷어서 로비스트에게 돈 줘서 해결한다고 하다가 떨어지면 말고 그런 식으로 여러 번 했어요. 그렇게 돈 쓰기 하다가 다 떨어졌죠. 우리 힘으로 막고 다시 사고, (해서) 우리 주민들 입장에서는 억울하죠. 돈 투자하고, 몸 투자하고 해서 방조제를 만든 곳인데 얼마나 억울해요라고 기억하고 있었다.

▲갯벌복원사업을 적극 반대했던 B씨(65세)
▲갯벌복원사업을 적극 반대했던 B씨(65세)

그리고 주민 B씨는 내가 군의원이 아니었으면 역간척을 했을 것이여. 내가 의원을 할 때라 (역간척을) 하지 못하게 막았제. 〇〇 씨라는 그분이 나서서 중앙 부처하고 논의를 했는데 (내가 반대를 했지). 여기 대흥포(간척지)(면적이) 적어서 정부가 역간척을 실험하기 제일 좋은 곳이죠. 중앙부처에서 해볼라고 얼마나 했는지 몰라! 공청회한다고 해서 대전까지 갔죠. 다 결정할 단계에서 (공청회를) 했었어. 그쪽(갯벌복원을 찬성하는) 교수들이 대전에서 열린 공청회에 와서 발언하고 그랬어. 여기서 진줄(질피 종류)가 서식하다고 어떤 교수가 설명을 하드라고요. 여기 서해안에 뻘이 있는 곳에는 많이 서식하는 생물이라고 내가 적극 반론을 많이 했죠. 해초인데 옛날에는 뜯어다가 퇴비로 많이 사용했죠라면서 “(역간척을) 할 수도 있었어요. (정부가 모든) 돈을 지불하는 게 아니라 주민들이 공동으로 투자하는 형식이었어. 주민들이 배가 고프니까 돈을 많이 주면 예스(찬성)할 분위기드만. 그런데 돈을 많이 주지도 안하고, (주민들과) 같이 투자하는 형태였어요. 그래서 주민들이 망해 불면 어쩌냐고 해서 (역간척을) 안했지. (당시에 역간척을 한다고) 신문에 대대적으로 나오고, 방송도 많이 났어요. 내일 당장 하는 것처럼 (보도가) 나오고 그랬어요. 동네 주민들 간에 의견을 모으는 일은 없었고, 돈만 많이 주면 하라 하제 이런 분위기였죠. 결론은 정부로부터 돈을 일부 받고, 우리 주민들이 투자하는 형식이었어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자식처럼 생각한 농토

또 다른 주민 C씨는 당시 갯벌복원 사업이 논의되다가 중단된 것에 대해 역간척이 무산된 것은 토지보상 때문이었어요. 여기 마을 분들이 지금 가지고 있는 농토가 200ha가 되는데 그때 당시는 50ha 밖에 안될 정도로 농토가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서 간척사업을 통해서 농지가 생기다 보니까 어른들이 (농토를) 자식처럼 생각했던 거죠. 아무리 (보상 금액이) 큰돈이라고 하더라도 아예 안 한다는 분도 있었고, 토지보상 (금액이 적기) 때문에 역간척을 안 하겠다는 분도 있었죠. 여러 가지 의견 때문에 결국은 (갯벌복원 사업을) 안하게 되었거든요라고 말했다.

▲대흥포방조제
▲대흥포방조제

한편 갯벌복원(역간척) 사업의 필요성을 적극 주장하면서 주민들을 설득하는데 앞장섰던 D 씨는 당시 준비 과정에 대해 “2006년부터 3년 동안 준비기간을 거쳐서 자연국민신탁하고 해서 주민들하고 모임도 자주 가졌었고, 보상문제도 충분히 검토했었죠. (토지주들에게) 농산물 판매수익 관련 자료를 충분히 갖추고 있도록 했죠. 새만금사업이 국책사업으로 했잖아요. 그래서 정부 정책과 반대되는 일을 대놓고 할 수 없었잖아요. 그런데 당시 국토해양부(현 해양수산부)에서 (갯벌복원을 추진하기 위해) TF를 구성했었고, 예산도 준비하고 있었어요. 그래서 새만금사업이 완료된 시점에 (역간척을 하자고 논의를) 시작했고, 그때 막 (역간척을 하자고) 발표를 하고 그랬어요. 노무현 정부 때였을 거예요. 당시 정부가 고창, 사천 등 4개 지역에 갯벌복원을 하겠다고 했는데 (여기는)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준비해서 해볼려고 했죠. 그래야 의미가 있잖아요. (정부가) 땅을 사서 하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그런 것은 의미가 없고, 주민들이 주도해서 갯벌을 복원하겠다는 뜻으로 할려고 했죠. 다른 지역하고는 완전히 차별화되는 내용이었죠.”라면서 진도군 행정하고는 의논을 하지는 않았죠. 포스코 조선소 등 기업들이 환경을 살리는 사회적 공헌을 하는 차원에서 지원하는 사업들이 많잖아요. 그런 기업들도 연계가 됐었고,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부)에서도 어느 정도 정상화될 때까지 현장교육 답사코스로 넣어 주기로 했죠. 주민들이 농업을 포기했을 때 적절한 수익이 있어야 하잖아요. 자연국민신탁이 그런 것은 논의를 하고 준비를 했었죠. 교육인적자원부와는 자연국민신탁의 대표인 전〇〇 박사님이 논의를 했었고, 목포 쪽에서는 생태환경을 조〇〇 교수님이 중심이 되어 가지고 네트워크를 만들었죠. 전남대 전〇〇 교수, 도서문화연구원 등 (우리 마을) 소포리에 관심을 갖심을 갖고 있는 많은 분들이 도움을 줬었죠. 그래서 그런 것도 논의를 해서 역간척을 하자고 발표를 했었던 거죠라고 말했다.

또한 갯벌복원을 통해 여러 가지 마을활성화 계획을 준비했다고 말한 주민 D 씨는 우리 마을 소포리는 진도군에서도 강강수월래, 진도아리랑, 농악을 주민들이 직접 하는 독보적인 곳입니다. 그래서 문화하고, 생태하고 일종의 에코빌리지(생태마을) 형태와 그리고 자연순환 가능한 여러 가지 대안 사업을 고민했었죠. 어업권은 지장이 없이 생태보전지구로 지정하고, 각종 방법들을 연구해 놓았었죠라면서 농사를 못 짓게 되는 대신에 농민들에게 이익을 되돌려 주기 위해 주변에 개발이 가능한 십분의 일은 지주들 몫으로 떠 주겠다고 했고, 당연히 (방조제) 개방을 하면 토지가가 올라갈 거고, 그 지분은 자식들에게 양도를 할 수 있도록 했고. 개방도 완전 개방이냐, 부분적 개방이냐 아니면 일정 기간 동안 바닷물이 들어왔다가 수위를 어떻게 조절하냐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어요. 방조제 바깥 갯벌에 새준질이 왕성하게 자라고 있어요. 잘피 종류인데 잎이 가늘어요. 다른 곳에는 많이 서식하지 않거든요. 완전 개방이 답이고, 상실된 소득에 대해 어떻게 보전해 줄 것이냐에 대해 대안을 준비했었죠. 교육부에서 현장답사 장소로 정하면 입장료 지원도 하겠다고 했죠. 순천만 갈대밭 입장료 받는 것과 같은 그런 형태죠. 그것을 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행정에서 땅을 몽땅 사서 해불면 쉽기는 한데 그것은 의미가 없어요라고 말했다.

주민 70% 이상 역간척 찬성

그리고 당시 주민들의 찬성과 반대 입장에 대해 주민 D씨는 당시에 토지주 27명이 (마을회관에) 나오셔 가지고 주민투표를 붙여 봤죠. 그중 70프로 이상이 찬성을 했어요. 그때 토지주가 다 나온 것은 아니지만 방송해 가지고 나오신 분들에게 의견을 물어봤죠. 간척지 토지의 삼분의 일을 안치마을 분들이 가지고 있었는데 그분들은 (역간척에 대해) 백프로 찬성을 했죠. 안치에 사는 토지주가 한 열 몇 분 되죠. 왜 당시에 역간척을 하지 않았냐고 지금도 말씀하시는 토지주들이 계시죠. 마을 주민들 중에 역간척을 반대하는 분들도 있었죠라면서 향후 갯벌복원을 다시 추진할 의향이 있는냐는 물음에 D씨는 주민들과 논의도 해보고 해서 다시 (역간척 논의를) 서서히 준비해 볼려고 합니다. 이해를 시켜야 하고, 과정이 만만치 않아요. 아마 몇 년이 걸릴 거예요. (역간척을) 해야 할 일이니까 (준비를) 해야죠. 하루아침에 되는 것은 아니잖아요. 다른 지역에서도 역간척을 한다고 하고 있는데 다른 지역에서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하는 것은 어려울 거예요. 보상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 때문에. (방조제를) 완전 개방하지 않더라도 어떤 형태로든 역간척은 시작되어야 해요라면서 간척 이전에는 우리 지역에 논이 거의 없는 지역이었어요. 쌀밥에 대한 향수, 논에 대한 애착이 남다르죠. 저희 할아버지가 앞장서서 (방조제 막는 일을) 마무리 지었는데 저희들이 필요한 것은 뻘이지, 논이 아니거든요. 쌀이 남아돌고 그러는데. (그리고) 생태복원도 있고, 환경을 살려야 하는데 쓰레기만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만은 없잖아요. 생태복원, 환경운동의 일환이기도 했어요. 이런 얘기가 먼 차원의 얘기이기도 해서 주민들을 완전히 이해시키기가 힘들었어요. 그러나 많은 토지를 가지고 있는 지주 분들한테는 동의를 구한 상태였어요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주민 D씨는 여기가 아니더라도 다른 어떤 지역에서도 꼭 해야 할 일이니까 어떤 형태로든 시작을 했으면 좋겠어요. 반드시 필요한 거고. 특히 강이 막아지면서, 대규모 간척사업이 이루어지면서 각종 오염물이 축적되었다가 일시에 방류하니까 녹조도 나오는 거고 바다생태계도 문제가 되는 거고, 정화시킬 수 있는 땅이 없어졌잖아요. 갯벌에서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고 정화시키는 기능들을 다시 만들어야 돼요. 우리 후손들에게 좋은 땅, 좋은 물을 물려주어야 되잖아요. 그 일을 하기 전에 저도 논 십분의 일을 깊이 1미터 정도로 팠어요(습지를 만들었어요). 그랬더니 논에 있는 물이 그곳으로 다 들어가더라고요. 그곳에서 걸러서 최종적으로 맑은 물을 (바다로) 방류를 하고 있어요. 저 개인적으로는 여러 가지로 준비한 것들이 많이 있었죠. 환경에 관심이 있었으니까. 주변에 많은 분들이 도와주시기도 했고요라고 말하면서 역간척, 즉 갯벌복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기사는 충남지역미디어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