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매립지에 대한 뒤늦은 대응
해상매립지에 대한 뒤늦은 대응
  • 편집국 기자
  • 승인 2012.07.16 13:38
  • 호수 6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군산시가 군산시 소룡동 군산내항 앞바다에 준설토사 임시적치장을 마련하고 이곳에 준설토사를 투기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도부터였다.
이후 군산시는 1996년 해상도시 기본 설계를 수립하였으며 2009년에는 해상매립지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구상용역을 완료하고 작년에는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에 이를 포함시켜 고시하는 등 착착 일을 진행시켜 왔다. 마침내 군산시는 국토부로 하여금 지난 5월초에 개발 용역을 하도록 하는 동시에 재원조달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일이 이처럼 진행되는 동안 서천군에서는 강건너 불구경하듯 했다. 2007년도까지만 해도 장항갯벌을 매립하자고 했으니 그럴만도 했다. 그러나 이후 정부대안사업을 수용하며 생태도시로의 군정목표를 정한 이상 이러한 군산시의 행보에 이의를 제기하고 나서야 했다. 국토부가 용역에 착수하고 나서야 발등에 떨어진 불로 인식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우리 언론에서도 진작 문제 제기를 하지 못한 잘못을 시인하는 바이다.
군산시가 추진하려는 해상도시가 그들 계획대로 완공될 경우 서천군으로서는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것은 군산시와 같은 생활권역에 살고 있는 서천 주민들은 누구라도 실감한다. 서천이 주도적이고 자주적으로 미래를 열어나가지 못하고 군산시의 변방처럼 나앉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숙박시설이나 기타 문화적 요건이 미비한 서천군으로서는 국립생태원이나 해양생물자원관이 문을 연다 해도 많은 관광객들이 그곳으로 빨려가는 현상을 쳐다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시기에 군이 나서서 주민들과 함께 하며 해상신도시 저지에 나선 것은 만시지탄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군산해상도시건설저지비상대책위에서는 지난 주에도 장항읍사무소에서 장항읍과 마서면의 사회단체들과 함께 결의대회를 열었으며 중앙언론사들을 초치하여 금강하구의 생태계 파괴가 극에 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생태계 복원이 미래세대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지고지선의 임무임을 생각한다면 이들도 서천군의 생각에 적극 공감할 것임을 의심치 않는다.


이에 나소열 군수의 서천군은 좀더 진정성을 가지고 일에 적극 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자칫 나 군수의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한 것으로 비쳐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벌써 서천군 내에서도 이처럼 보는 시각이 있다.
이러한 일부 시각을 불식하고 금강하구의 중요성을 금강하굿둑 개방과 연계하여 온 나라에 적극 알린다면 충분히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 문제 뿐만 아니라 다른 사안에 대해서도 철학을 같이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금강은 충남의 젖줄인 만큼 충남도와도 긴밀한 관계 속에서 함께 보조를 맞추고 힘을 합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