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주장- 음식물쓰레기 줄일 수 없나?
나의주장- 음식물쓰레기 줄일 수 없나?
  • 뉴스서천
  • 승인 2002.03.21 00:00
  • 호수 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며칠 전 신문에 비만 어린이들이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사진이 실린 것을 본 적이 있다. 살을 빼기 위해 안간힘을 쓰며 고통을 참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 그 사진은 우리 사회가 먹는 것으로 인해서는 더 이상 걱정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풍족한 식생활을 하고 있다는 증거의 한 단면이었다. 경제 사정이 이러다 보니 이제는 양보다 질, 그리고 건강식에도 관심을 가지게 된 것 역시 이를 잘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식사문화는 자연스레 과도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을 부추겼다. 환경부의 발표에 따르면 1999년 현재 국내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전체 식품공급량의 18.7%인 4백83만톤으로 국민 한 사람 당 연간 31만원 이상을 낭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금액으로 환산하면 15조원 대에 육박한다고 한다.
그동안 음식물 재료값이 오르긴 했지만 88년의 8조원 보다 두 배에 가까울 뿐 아니라 올해 정부예산의 13%에 이른다니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한다. 그런 상황에서 2005년부터는 음식물쓰레기의 직매립도 금지된다.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를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도 매립에 의존하는 비율은 높기만 하다.

우리나라의 음식물 쓰레기 현황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은 50%가량이 줄어들었다고 한다. 이처럼 매년 생활쓰레기의 양이 줄어든 이유는 95년부터 실시된 쓰레기종량제의 성과로 풀이된다. 그와 함께 환경에 대한 국민적 인식의 변화로 재활용율의 증가 역시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이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은 250g으로 소비수준이 우리 보다 높은 미국의 230g, 프랑스 220g, 독일 170g 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고 아직도 생활쓰레기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는 것을 눈여겨 보아야 한다. 더구나 이렇게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는 재활용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까지도 대부분을 매립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점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음식물쓰레기의 매립은 환경민원을 야기시키고 있다. 침출수를 비롯한 많은 문제들이 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지자체에 부담을 안겨주고 있으며 2005년부터는 그나마 음식물쓰레기의 직접매립도 금지된다. 그 기간 동안 음식물쓰레기를 전량 재활용하기 위한 획기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하지만 이제 3년여밖에 남지 않은 시점인데도 각 지자체에서는 아직까지 음식물쓰레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계획수립에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이와같은 음식물쓰레기 문제해결은 국가의 행정력을 떠나 아직까지는 국민 개개인의 노력 여하로 귀결되고 우리 일상생활에서 각자가 음식물을 줄이려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노력 없이는 해결이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 방안 강구해야
이 땅에는 굶고 있는 아이들이 16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그들을 생각하면 무심코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버려지는 음식물의 자원화에 대해서도 여성, 환경, 종교, 음식점 등 사회 각계각층의 노력이 모아져야 한다는 생각을 떠올리게 한다.
해당 자치제는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 기반시설을 확충한다거나 개인이 자원화를 위한 노력에 의욕을 잃지 않게끔 입지난 해소나 사료화, 퇴비화 제품의 판로개척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 감량의무사업장에 대한 의무이행율 제고를 위해 지속적인 지도, 단속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공영농수산물 도매시장 등과 같이 포장되지 않은 농수산물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일부에서만 실시되고 있는 쓰레기유발부담금제의 확대시행을 통해 정책적 효과에도 기대를 모아야 한다.
음식점 등 민간부분에서는 남은 음식을 재이용할 수 있도록 Food Bank제도를 적극 활용하고 주문식단제의 도입 및 음식문화개선과 감량에 대한 의식이 몸에 베도록 남은 음식을 포장해서 주는 서비스를 적극 검토해봐야 한다. ‘doggy bag’라는 말이 있다. 미국에서는 식당에서 남은 음식물을 다시 가져갈 수 있도록 이런 생활 속의 작은 실천이 정착되어 가고 있다고 한다. 이런 아이디어를 타산지석으로 삼는 지혜도 발휘할 때다.
이와 같은 지자체와 민간부분의 적극적인 노력과 아울러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를 위한 연구와 기술개발에도 끊임없는 투자가 이루어질 때 헌법에서도 규정한 ‘쾌적한 환경에서 건강한 삶을 누릴 권리’를 향유할 수 있을 것이다.
<양원준/ 대전 한밭대 4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