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소각없는 마을, 군 의지에 달렸다
사설/소각없는 마을, 군 의지에 달렸다
  • 편집국 기자
  • 승인 2017.11.29 18:18
  • 호수 88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70년대 이후 산업화가 급진전 되며 한국에서도 어느 경제학자가 말한 ‘고도대중소비단계’에 이미 오래 전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대량생산은 대량의 쓰레기를 낳는 법이다. 우리는 어느 재화를 소비하더라도 결국 쓰레기로 되는 포장재료들을 뜯어낸다. 이들의 부피가 본 상품보다 더 큰 경우도 많다. 이같은 쓰레기 홍수 시대에 산업화 과정이 늦은 농촌 마을이 주를 이루는 서천군에서 쓰레기 문제로 골치를 앓아온 지 오래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뉴스서천>은 언론재단의 지원에 힘입어 지역공동체캠페인 사업의 일환으로 ‘소각 없는 청정마을 만들기’ 캠페인을 벌여왔다. 주민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였으며 지난 27일에는 ‘쓰레기 소각없는 청정마을만들기 정책 토론회’회를 열기도 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쓰레기 소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해온 전문가들과 군청 담당 과장이 토론자로 나서 발제를 하고 토론을 벌였다.

이날 많은 대안들이 정책 대안들이 제시됐다. 쓰레기 소각 실태에 대해 생생한 보고가 있었고 얼마나 인체에 위험한지 자료와 도표를 통해 충분히 보여주었다. 이를 근절하기 위한 정책 대안도 다양하게 제시됐다. 쓰레기 소각에 문제 의식을 느끼지 않는 주민들에게 환경 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엄중한 단속이 계도와 함께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또한 이장단이나 부녀회 등 마을 공동체의 중간 조직의 역할론도 제기됐다.
어느 것 하나 소홀할 수 없는 대안들이다. 그러나 우선 순위가 있기 마련이다. 농촌의 특성상 수거 차량이 깊숙히 진입하기 어렵다. 이에 주민들은 소각이 불법이고 인체에 해로운 것을 알면서도 소각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고령층인 경우 멀리 떨어진 적치장에 쓰레기를 갖다놓기도 힘에 버거울 것이다.

이에 따라 농산어촌 마을 깊숙한 곳에서도 생활쓰레기들이 한 곳에 모아져 처리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우선이다. 이에는 예산과 인력이 더 소요될 것이다. 이를 해결하는 것은 군의 의지이다.

다른 곳에서 예산이 낭비되는 곳은 없는지 살펴보고 이를 줄여서 쓰레기 행정에 예산을 더 할당해야 한다. 이날 참석한 한 주민은 교통사고가 잦은 도로는 그냥 두고 운전자 탓만 하면 교통사고는 줄지 않는다는 발언을 했다. 우리는 이 발언에 동감하며 도로 개선에 예산을 들이듯 수거체계 개선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