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시장터 / 기후위기, 기후정의
■ 모시장터 / 기후위기, 기후정의
  • 뉴스서천
  • 승인 2022.10.07 09:01
  • 호수 1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윤수 칼럼위원
김윤수 칼럼위원

세계 환경·기후위기인식을 담은 환경위기 시계1992년 처음 시작됐으며, 환경재단은 2005년부터 매년 일본의 아사히글라스재단과 함께 대륙별, 국가별 환경오염에 따른 인류생존의 위기 정도를 시간으로 표현해 발표해왔다.

환경위기 시각이란, 기후위기에 대한 사람들의 위기의식을 나타내고, 자정에 가까울수록 인류의 생존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환경 파괴에 대한 위기감을 시각으로 표현한 환경위기 시계는 0~3시까지는 좋음’, 3~6시는 보통’, 6~9시는 나쁨’, 9~12시는 위험을 나타낸다.

20224월 한 달간 진행된 이번 설문에는 전 세계 127개국의 1876여명의 환경 관련 전문가 및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참여했다. 2022년 환경위기시계는 한국의 현재 환경위기 시각 928, 세계의 환경위기 평균 시각 935분이라고 한다.

환경위기 시각이 가장 빠른 지역은 1017분인 북아메리카 지역으로 가장 높은 위기감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지역에 최근 몰아닥친 폭염과 혹한 등의 이상기후와 더불어 산불과 같은 충격적인 기후재난이 위기감을 증폭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환경위기 시각이 가장 늦은 지역은 91분인 아프리카 지역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분석에 따르면, 60대 이상이 가장 높은 위기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분야별 가장 시급한 문제로는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사회, 경제, 정책 순으로 작년과 동일하다. 특히, 기후변화는 2011년 이래로 전 세계 응답자들이 가장 높은 위기의식을 갖고 있는 문제이다.

스위스의 대기기후과학연구소는 2050년까지 이상 고온 현상이 지난 30년에 비해 최소 2, 최대 7배까지 늘어날 거라고 예측했다. 더 심각한 문제는 가뭄, 폭염, 폭우 등 여러 개의 이상기후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면서 생기는 기후위기로 인해 복합재해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기후위기에 가장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대상이 아이들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20주 차 태아를 대표 청구인으로 한 아기 기후 소송이 제기됐다. 탄소중립기본법이 규정한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가 너무 낮아 미래세대의 생명권 등 헌법상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취지의 헌법소원이다.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2018년 대비 40%로 규정한 것이 아기'들의 기본권을 침해하여 위헌이라는 게 이번 소송의 골자다. 탄소중립기본법에 대한 헌법소원이 제기된 것은 기후위기비상행동, 청소년기후행동에 이어 세 번째다.

IPCC 보고서를 보면 기후변화로 가난한 나라 사람이 죽을 확률은 그렇지 않은 나라 사람보다 15배 높다고 한다. 기후변화 자체만이 문제가 아니라, 가난한 국가들은 시민을 보호할 능력이 안 되기 때문이다.

저개발국보다 선진국이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한국을 포함한 주요 20개국(G20)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80% 안팎을 차지한다. 세계 소득 상위 10%가 전체 온실가스의 절반가량을 배출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따라서 기후위기는 곧 인권의 문제이자 불평등의 문제이며 인류 전체의 생존 문제라고 하겠다.

또한 기후문제의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사람은 여성, 어린이, 유색인종 등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이기 때문에 기후위기는 모두가 평등하고 존엄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기후정의의 문제인 것이다.

지난 924일 오후 3시에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기후재난, 이대로 살 수 없다!’라는 기치로 ‘924 기후정의행진이 있었다. 서천에 계신 다른 분들과 함께 충남행동의 일원으로 탈석탄 제정법’, ‘석탄 대신 태양과 바람으로’, ‘기후위기, 이대로 살 수 없다란 피켓을 들고 기후정의행진에 동참했다.

시민들은 두려운 여름 두려운 태풍 이제 그만’, ‘지구는 재활용 안 돼요’, ‘내일은 없다 SAVE THE EARTH’, ‘모든 불평등을 끝내야 한다’, ‘기후위기 최일선 당사자의 목소리는 더 커져야 한다는 등의 피켓을 손수 만들어 거리로 뛰쳐 나왔다. 기후정의 실현을 위한 제도적 변화와 사회의 참여를 촉구하는 마당에서는 한 장애인이 피가 터지도록 외친다. 홍수가 났을 때 휠체어를 탄 장애인은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