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특성화 문화발굴육성 대토론회’
‘지역특성화 문화발굴육성 대토론회’
  • 뉴스서천 기자
  • 승인 2004.10.08 00:00
  • 호수 2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 경 진
<문화원 사무국장>
지난 달, 전국문화원연합회 대전지회와 충남지회의 공동주관으로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에서 열렸던 ‘문화분권시대 지역특성화 문화발굴육성 대토론회’는 문화관광부 지원으로 전국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문화사업 발굴 2004 학술세미나’의 성과와 한계를 모두 보여주었다.

가장 큰 성과라고 한다면 중앙 부처, 즉 문화관광부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의제인 ‘문화분권’에 대한 대중적 이해를 높일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이고, 대전·충남지역의 문화관련 지식인이 고민하고 있는 지역문화콘텐츠 내용의 단면을 엿볼 수 있었다는 점이다.

더불어 그간 문화적 인프라의 집중뿐 아니라 문화개혁에 대한 의제설정과 토론마저도 중앙에 한정되어 있었던 상황에서 아래로부터의 토론문화 정착이란 측면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한계와 문제점도 여러 가지 노출되었다.

첫째, 3시간으로 주어졌던 주제발표 및 토론시간은 4가지의 대주제를 소화하기엔 턱없이 부족했다. 대주제의 면면을 보면 ‘지역특성화를 위한 문화분권’, ‘충청지역, 선비문화의 특성화 방안’, ‘지역의 역사적 특성을 담은 축제개발 방안’, ‘문화특성화를 위한 지역문화단체의 역할‘ 등이다.

각 주제의 내용이 만만치 않고 논쟁거리가 될 소지도 많아 주제별로 1시간씩 잡아도 모자랄 정도인데 3시간 안에 토론회를 마칠 예정이었으니 애초에 심화된 토론은 불가능했던 셈이다.

예를 들면, 제1주제 토론의 발제자인 이원태(문화관광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이 발제한 글 중에서 단 다섯 줄로 언급한 ’지역문화예술위원회 또는 문화재단 설립‘에 관한 문제만 하더라도 지역문화예술위원회와 문화재단의 역할과 위상이 무엇이고 어떤 공통점과 차별성이 있는지, 문화예술위원회와 문화재단의 관계는 어떻게 정립되어야 하는지, 문화예술진흥원 체제가 문화예술위원회 체제로 바뀌는 이유와 의미가 무엇인지 등등 토론할 계제가 수없이 많다.

둘째, 비단 이번 토론회만의 문제는 아니겠으나 발제자와 토론자가 교수 계층과 문화원 관계자 일색이었다는 점이다. 물론 문화원연합회의 주관으로 진행한 행사였기 때문에 문화원 관계자의 참석은 당연하다.

그러나 패널의 3분의 1을 점유한 것은 스스로 문화발전대토론회의 범위를 좁게 만드는 선택이었다. 문화, 혹은 문화예술이라는 담론이 어찌 문화원에만 한정되겠는가. 얼추 떠오르는 연관단체 및 NGO만 해도 예총, 민예총, 문화연대 등등 금새 열 손가락을 넘긴다.

이들에 해당하는 패널은 단 한 사람이었다. 건강한 문화의 가장 중요한 속성이 다양성이라고 할 때, 그 다양성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최대한 모여 문화발전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게 현명한 방법이다. 이런 정책토론에서조차 이념이나 계열로 나뉜다면 그 정책에 의해 예산이 분배되는 과정에서도 소외되는 집단과 과도하게 집중되는 집단으로 분할될 것이고, 그런 결과를 위해 토론회를 준비한 것은 아닐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전히 구태의연한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이다. 토론회가 평일에 잡혀 실재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사람들보다는 각 지방문화원에서 동원된 청중으로 자리를 채울 수밖에 없어서 토론자와 청중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힘들었다.

또한 문화원연합회 충남지회·대전지회장의 인사말을 비롯하여 문화원연합회장, 충남지사, 대전시장 등의 격려사로 이어지는 지루한 의전행사는 꼭 해야되는지 의문스럽다. 굳이 한다면 토론회를 여는 목적과 내용에 대한 간단한 모두발언 정도로 한정하는 건 어떨까싶다.

어쩌다보니 주관한 문화원연합회에 대한 성토처럼 되어버렸는데, 문화원 관계자인 필자도 그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결국은 이런 지적이 쓴 약으로 돌아올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마셔야 될 보약이고 이런 과정을 수없이 겪다보면 건강한 문화라는 열매가 맺힐 날이 올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