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아닌 정책보상 받아야할 장항
정치가 아닌 정책보상 받아야할 장항
  • 편집국 기자
  • 승인 2006.09.29 00:00
  • 호수 3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항은 항구다.

1930년 개항했고 1938년 1월 1일 정식으로 항구로 이용했고 1962년 1월 지정항, 64년 7월 개장항이 되었다. 그러나 그 이전에도 장항은 고기잡이배들이 드나드는 항구였다.

장항이 가장 활기찼던 시절은 그물가득 꽃새우가 잡히던 때였다고 한다. 그리고 장항제련소와 드넓은 화양뜰이 뒷받침 해주고 있었다.

일제가 1931년 장항선(천안~장항)을 개설한 이유가 확연하다. 근대화가 빠르게 진행된 이유는 씁쓸하지만 장항은 이렇게 성장해 왔다.

그리고 1938년 서남면 장항리, 마동면 산서리 등 5개리를 합하여 장항읍으로 승격됐다. 서천면이 1979년에 서천읍으로 승격된 것에 비하면 40년이나 앞선다. 인구도 서천읍 5,137세대에 13,964명, 장항읍은 5,791세대 14,562명(2006년 7월말 기준)으로 장항에 600명 정도가 더 많이 살고 있다.

그러나 장항주민경제는 서천읍, 아니 서면보다 못하다. 극히 일부 큰 공장에 다니는 사람들 빼 놓고는 늘 어려운 지역경제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서천군의 세수입이 장항읍에서 가장 많이 거둬들여 지는 것을 보면 참 대조적인 현상이다.

1980~1990년까지 인구의 11%가 감소했고, 1990~2000년까지 인구의 22%가 감소했다.

국내 초대 제련소의 수명이 50여년으로 끝날 줄 아무도 몰랐을 것이다. 그 후 한라시멘트, 풍농비료 공장, 한솔제지 공장이 들어섰다. 그리고 떠났던 태평양화학이 일부 다시 돌아왔다. 일부 주민들이 일자리를 얻었다. 그리고 10년 전, 장항국가산업단지 조성계획 수용 토지주들과 피해어민들에 대한 직·간접 보상으로 1,800억원 이상이 풀렸다.

그러나 장항은 그 때도 지금도 여전히 배고파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근대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른자를 차지한 사람들, 최소한 공장에 노동자가 된 사람 외의 주민들은 마치 거품경제의 소모품처럼 무너지고 있다.

당초 고기잡고, 농사짓고 살았던 사람들이 50여년 동안 본래 생업대신 공장과 그 노동자들을 상대로 한 돈벌이를 할 수밖에 없었던 환경이 이었다. 그 노동자들이 떠난 지금 장항의 생활터전은 망가질 대로 망가졌다. 근대화를 넘어선 현대화의 표상 금강하구둑이 결정적 일격을 가한 결과이기도 하다. 근·현대화의 수혜지역이었던 장항이 오늘날 피해지역으로 남은 것이다.

17년 전 장항은 다시 꿈에 부풀었었다. 17년 전, 그 때는 환경, 갯벌이란 존재가치가 공론화되지 못한 때였다. 시대의 가치기준이 변했다. 그동안 좀 망가지기는 했지만 이 시대의 최고가치로 인정받는 것을 장항은 많이 가지고 있다. 이제 정치적으로가 아닌 정책적으로, 또 장항주민의 생활문화에서 이 것들을 활용해야한다. 

장항의 자연과 생활환경을 토대로 떳떳한 생산을 얻어 내도록해야 한다.

장항주민들의 생활터전이었던 갯벌이 썩었다면 그 원인제공자들에게 책임을 물어야할 것이며, 17년 헛꿈을 꾸게 해 상처받은 주민들에는 그에 타당한 보상을 해줘야 할 것이다. 원칙적인 평가와 수치(數値)를 바탕으로 정부와 자치단체의 정책이 돼야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