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고장의 문화재 탐방<7> 사묘재실, 회화류, 소조불
우리고장의 문화재 탐방<7> 사묘재실, 회화류, 소조불
  • 이강선 기자
  • 승인 2006.09.29 00:00
  • 호수 3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율리사·권성선생영정·봉서사소조삼존불상

[1] 율리사(栗里祠) 재실건축(齋室建築)은 묘제(墓祭)를 지내기 위한 건축물로서, 참제인(參祭人)의 숙식(宿食)·제수(祭需) 장만·망제(望祭)를 지내는 주기능과 함께 후학을 양성하기 위한 강학(講學)의 기능을 갖기도 한다. 재실을 구성하는 주요 공간들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1) 루(樓): 묘제 때 참제인들이 문중회의, 제수 점검 및 상차림, 망제(비올 때), 묘제 후 음복하는 곳. (2) 전사청(典祀廳): 제사에 필요한 기구와 제수를 장만하여 보관하는 곳. (3) 유사실(有司室): 회계 및 기록, 제수마련 및 점검, 제사절차 협의, 문중회의 주관 등을 담당하는 유사들이 유숙하는 방. (4) 종주실(宗主室): 종손실이라고도 하며, 노소(老少)를 막론하고 종손만이 머무는 방. (5) 참제인실(參祭人室): 묘제에 참제한 후손들이 머무는 방. (6) 수임방(受任房): 매년 묘제 때마다 교체되어 임명되는 제관(祭官) 또는 현관(顯官)이 머무는 방. (7) 전임실(前任室): 전임 유사로 제례에 밝은 연로한 후손이 머무는 방. (8) 동·서재(東·西齋): 대개 대청 좌우의 방으로 참제인들이 머무는 방으로 동재가 대체로 연로한 후손들의 방. (9) 대청(大廳): 제수를 장만하는 장소 또는 루의 기능을 보조하여 상차림과 음복하는 곳. 율리사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03호로 비인면 율리에 자리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장군 신숭겸을 중심으로 평산신씨(平山申氏) 7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祠堂)이다. 신숭겸(申崇謙)은 전라도 곡성에서 태어나 배현경, 홍유, 복지겸과 더불어 궁예를 폐하고 왕건을 추대하여 개국원훈대장군이 되었다. 신숭겸은 태조 10년 대구 공산전투에서 후백제 견원군의 포위로 전세가 위급해지자 태조 왕건의 옷을 입고 태조를 피신케 하고 대신 어차를 몰고 출전하여 장렬히 전사하였다. 율리사는 처음에는 조선 철종 1년(1850년)에 세덕사(世德祠)를 지어 위패를 모셨고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918년 율리사로 중건되었다. 율리사는 앞면 3칸, 옆면 1칸의 건물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맞배지붕은 가장 간단하여 기본이 되는 지붕 형태의 하나로, 지붕면이 양면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다.
[2] 권성선생영정(權惺先生影幀)

영정은 화상을 그린 족자를 말하며, 권성 선생영정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5호로 지정되어 있다.

권성(權惺, 1653-1730)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복관은 안동이고 자는 경중(敬仲), 호는 제원재(霽月齋)이다. 1687년(숙종 13년) 알성문과에 장원급제한 뒤 지평, 장령, 집의, 헌납, 사간 등의 벼슬을 지냈다. 1703년 조광조, 이이의 유집에서 현군이 행해야 할 18개조를 뽑아 ‘국조명신주의집록(國朝名臣奏議輯錄)’을 편찬하여 숙종에게 바쳤다. 그 뒤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경상도,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하는 동안 선정을 베풀어 명관으로 이름이 났다. 1721년(경종 1년) 한성부판윤으로 있을 때 신임사화(辛壬士禍)가 일어나 삭직되었다가, 1725년(영조 1년) 노론(老論)이 집권하자 부총관을 거쳐 한성부판윤, 공조판서를 지냈다. 1727년(영조 3년)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다시 물러났다가 형조판서, 참찬 등에 여러 차례 기용되었으나 사퇴하고 전원생활로 여생을 보냈다.

 

 

   

[3] 봉서사소조삼존불상(鳳捿寺塑造三尊佛像)

불상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기초로 한 불교교리에 의한 예배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조각상이다. 인도에서 불교가 발생하고 석가모니의 열반 이후 약 500년 동안은 이러한 조각상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나, 1세기 경 쿠샨왕조시대부터 조각상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각상들은 불교의 전래와 함께 인도에서 남으로는 바다를 통해 실론(현재 스리랑카)과 동남아지역으로 퍼져갔으며, 북으로는 육로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가면서 발전하였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1세기경의 후한시대로 생각되지만 5호16국 시대에 이르러 북방 호족들의 적극적인 불교 수용으로 인하여 불상제작도 활발해졌다. 우리나라에는 불교가 삼국시대에 처음 전래되었고 이에 따라 형성된 불상은 중국의 영향 속에 발전한다.

봉서사 소조삼존불상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34호로 한산면 호암리 195번지 봉서사 극락전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불상은 조선 광해군 10년(1618년) 극락전에 본전불인 아미타불과 좌측에 관세음보살, 우측에 대세지보살을 봉안했다. 이 불상들은 모두 흙(점토)으로 만든 것(소조불)에 금도금을 하였다.

봉서사는 고려말 기산면 영모리에 영모암이 있었던 것을 1682년(숙종 8년) 4월에 이곳으로 옮겨지었다고 한다. 영모암은 건지산 북쪽에 있는데 이색의 화상이 있다고 하여 이색선생과 연유하여 건립된 암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극락전 현판 글씨가 석북 신광수(조선 영조 때의 학자·문인, 1713-1775)의 유필이라고 되어 있어 석북공이 머무른 사찰로 짐작된다.

또한 봉서사는 월남 이상재 선생이 소년시절 학문을 한 아늑하고 조용한 사찰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