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먹노린재 발생 확인, 중국발 애멸구도
벼 먹노린재 발생 확인, 중국발 애멸구도
  • 허정균 기자
  • 승인 2023.07.06 09:17
  • 호수 1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업기술센터, “비 그친 직후 방제해야”
▲벼에 침을 꽂고 흡즙하고 있는 먹노린재
▲벼에 침을 꽂고 흡즙하고 있는 먹노린재

농업기술센터가 농작물 병해충 예찰 결과 조생종 벼와 찰벼를 심은 논에서 먹 노린재가 발생했는가 하면, 중국에서 바람을 타고 날아온 애멸구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농업기술센터는 농가의 병해충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적기방제를 당부하고 나섰다.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벼 먹노린재는 지난달 5일 화양면 활동리, 시초면 풍정리, 판교 만덕리, 한산면 신성리, 동지리 등지의 극조생 및 조생종 벼와 찰벼를 심은 논에서 발생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29일 비인면 칠지리에서 먹노린재가 산란한 것이 확인됐다.

먹노린재는 주로 벼 밑의 줄기를 집중적으로 흡즙하고 분얼을 억제해 생육과 향후 수확량에 큰 영향을 준다.

먹노린재의 방제 방법은 조기에 이앙한 논을 기준으로 20주에 5마리 이상 확인되었을 때 방제하고, 일반 논을 기준으로 발견 즉시 적용 살충제(··수화제)를 살포해야 한다.

노린재 발생이 많은 경우 주변 논두렁이나 배수로 등 유입원이 될 수 있는 곳까지 함께 방제하는 것이 좋다.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비래애멸구는 5일 중국에서 날아온 것이 확인된 뒤 12일 화양 금당, 판교 만덕리 논에서 최초 발견됐으며, 비래애멸구에 의해 전염된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27일 흑향찰 논(1625)에서 발견됐다.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벼 잎에 황녹색의 줄무늬가 길게 생기며 비틀리거나 말라 죽게 되고, 이삭이 제대로 패지 못하고 팬 이삭은 기형이 되어 수확기에 엄청난 수량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박명수 농업축산과장은 먹노린재와 애멸구의 확산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 정밀예찰을 실시하고, 특히 먹노린재와 애멸구 등 병해충 발생과 피해가 우려되는 논은 비가 그치는 시기를 이용해 방제할 것을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