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원자력의 역사’ “핵 없이는 못산다?”
우리나라 ‘원자력의 역사’ “핵 없이는 못산다?”
  • 편집국 기자
  • 승인 2005.09.16 00:00
  • 호수 28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획
핵에너지 의존율 지나치게 높아

▲ <영광 원자력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현황 우리나라에는 4개 부지에 발전소 총 20기가 가동 중이다. 4개 부지는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에 위치한 ‘고리’, 경북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에 위치한 ‘월성’, 전남 영광군 홍농읍 계마리에 위치한 ‘영광’, 경북 울진군 북면 부구리에 위치한 ‘울진’ 부지이다. 고리에 4기, 영광에 6기, 월성에 4기, 울진에 6기 등 총 20기가 가동 중이다. 울진 5,6호기는 99년 1월부터 기초굴착공사를 시작해 각각 지난해 7월, 올해 8월에 준공됐다. 한수원에 의하면, 부산 기장군과 울산 울주군에 신고리 핵발전소 1,2호기가 올해 기공을 시작, 2010년과 2011년 준공 예정이라고 한다. 또, 경주 양북면에 신월성 원전 1,2호기가 건설 중에 있으며 3,4호기도 건설 계획 중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6번째로 핵발전량이 많은 나라이다. 2003년 말 현재(총18기 가동), 발전설비용량은 1,571만6천kw이며, 전체발전설비용량 5,605만3천kw 대비 점유율 28.0%로 전체 전력사용량의 40%를 담당한다. 2005년 현재 울진 5,6호기가 가동 중이며, 향후 5~10년 내에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4호기가 건설된다면, 우리나라의 핵에너지 의존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며, 핵에너지 없이는 살 수 없게 될 것이다. 고리 1호는 지역주민 이주시킨 뒤 건설 핵발전소 4개 부지는 70년대 박정희정권 때 지정됐다. 반핵국민행동의 자료에 따르면, 당시 궁핍한 객관적 상황 때문에 핵발전소가 건설되면 지역경제가 발전될 거라는 잘못된 믿음이 있었고, 핵에너지에 대한 환상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보다 건설하기 쉬웠을 거라고 짐작하고 있다. 하지만 당시에도 핵발전소 유치가 쉬웠던 것은 아니다. 1967년 수립된 장기전원개발은 50만kw급 핵발전소 2기를 76년까지 건설하기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최초의 핵발전소 부지로 경남 양산군(현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가 확정되었고, 69년 2월까지 현장조사를 마친 뒤 5월 주민설득에 들어간다. 그러나 주민들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혀 결국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21만평 부지를 확보해 발전소를 건설한다. 80~90년대에도 핵발전소 건설 반대 80년대 초 정부에서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핵발전소 건설을 위해 해안지방에 대한 조사를 실시, 입지조건에 적합한 9개 지역을 후보지로 지정, 고시화한다. 96년 후보지에 대한 여건변동 조사에 착수, 9개 지역(울진 산포, 삼척 덕산, 해남 외립, 신안 송공, 보성 비봉, 여천 이목, 장흥 신리, 고흥 장계, 울진 직산)에 개발 우선순위를 결정했다. 그러나, 주민들의 강한 반대운동으로 기존 핵발전소 인근지역 1곳을 제외, 8곳 모두 ‘99년 12월 백지화’ 되었다. 한국수력원자력(주)와 산업자원부는 주민들의 반발로 신규 부지를 지정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자, 기존 부지 옆에 신규 부지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핵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얕은 바다로 인해 온배수 피해가 극심한 전남 영광핵발전소 부지를 제외, 기존 핵발전소가 가동 중인 고리, 월성, 울진에는 각각 추가로 신규부지가 지정되었거나 지정될 계획에 있다. ▲ <1991년, 전국 규모로는 최초 핵폐기장·핵발전소 건설 반대집회
15년전부터 핵폐기장 유치 ‘좋아 & 안돼’


핵폐기장 유치 찬반 문제는 1989년부터 시작됐다.

당시 과학기술처와 동력자원부는 경북 영덕군 남정면·영일군 송나면·울진군 기성면(1,2,3순위) 등 동해안 3개 지역을 핵폐기장 후보지로 지정했으나, 주민들의 반대운동으로 1990년 2월 핵폐기장 동해안 건설을 백지화했다.


1990년 11월 3일, 과학기술부(이하, 과기부)는 충남 안면도를 후보지로 내정했으나 언론을 통해 이 사실이 발표되면서 안면도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힌다. 지금도 안면도 주민들의 반대운동은 ‘안면도사태’, ‘7일간의 항전’이라 불리고 있다.


당시 정부는 핵폐기장 밀실추진의 책임을 물어 과기부 장관을 경질하고, ‘지역주민과 합의하에 공개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후에도 과기부는 일방적으로 핵폐기장 부지를 선정 발표하고, 발표한 곳곳마다 주민들의 반대운동으로 핵폐기장 유치에 난항을 겪게 된다.


1994년 말의 굴업도 반대운동, 2003년부터 3년 간 진행된 부안군의 반대운동 등은 대표적인 핵폐기장 반대운동의 예이다. 

   
▲ <2003년부터 부안 군민들의 치열했던 핵폐기장 유치 반대 투쟁의 단면을 보여주는 한 상점의 모습>
에너지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핵발전소는 영광을 제외하고 모두 동해안에 집중되어 있다. 주민들의 반대운동으로 신규 부지를 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대한 핵단지’를 만들 수밖에 없는 현 에너지정책에 근본적 문제가 있다는 것이 환경단체 및 반핵운동단체들의 의견이다.


세계 핵 발전 용량은 1970년대 700%이상, 1980년대 140%로 증가했지만, 1990년대에는 약 5%이하의 증가 수준이다.


1998년 기존의 상업적으로 가동되던 전체 핵발전소 수가 최초로 감소하면서 발전용량이 감소하고, 그 후 급격한 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다.


핵에너지에 의존하는 것은 선진국의 대열에 끼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근본적인 에너지 대책을 세우지 못하는 정부의 무능력함을 보여줄 뿐이다.


이미 세계적 추세는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개발로 가고 있으며, 풍력, 수력, 태양열 등 재생가능한 에너지 개발에 대한 연구와 토론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핵발전소 건설에 참여했던 미국도 78년 석유파동 이후 풍력발전이 확대됐고, 최근 태양광 발전에 집중 지원하고 있다.


독일, 덴마크 등도 정부의 지원정책에 따라 풍력을 이용한 전력공급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

에너지시민연대는 “핵폐기장 갈등은 전력정책 전환으로 풀어야 한다”며 “현재 우리나라 전력사용체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요관리 계획과 목표치를 재설정하고, 줄어든 발전설비(또는 발전량)를 고려해 핵발전소 대신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 장기적으로 대체하자”고 주장한 바 있다.


근본적인 정책 전환이 있은 후에 핵폐기물 문제와 핵발전설비에 대해 충분히 합의해도 늦지 않을 것이다.


<뉴스서천 합동 취재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