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하기도 싫지만 우리는 신문없는 세상에서 살아야 할지도 모른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달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매체”로 신문을 선택한 사람은 2%에 불과했다. 반면 TV는 58.2%가, 인터넷은 34.2%가 일상생활에 필수불가결한 매체라고 응답했다.
신문정기구독 가정도 계속 줄어, 2000년 59.8%에서 지난해에는 29.0%로 줄었다. 이런 추세라면 20년 후 신문정기구독자는 5% 미만으로 줄어들 것이다.
신문의 멸종위기가 도래한 원인은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내부적 요인을 보자. 지금 신문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그리고 <중앙일보> 등은 일제 식민지와 군사독재의 보호막 하에서 성장한 신문기업이다.
민주화 이후, 과거에 대한 반성은 커녕 과거처럼 여전히 국민을 기만하고 조종하려는 이들 신문사의 행태에 많은 독자들이 실망했다. 무가지와 경품의 유혹에 넘어가는 독자들은 많지 않았다.
<한겨레>나 <경향신문>과 같은 진보적 신문도 독자들을 실망시키기는 마찬가지였다.
중산층과 서민층의 보편적인 관심과 이익보다는 진보적 이데올로기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양상을 보였다. 소위 족벌신문의 문제점을 부각하는데 많은 지면을 할애했지만, 자기반성과 자기개혁에는 인색했고, 보수신문에 실망한 독자들을 끌어들이지 못했다.
외부적 요인은 TV와 인터넷의 급성장이다. 독재정권 시절 권력의 하수인으로 질시를 받던 TV는 민주화 이후 독립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쳐왔다.
비록 그 한계가 있긴 하지만, TV는 노골적으로 특정 정파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신문보다는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보였다. 여기에 포털이 뉴스매체 기능을 발휘하면서, 굳이 종이신문을 펼쳐보거나, 신문사 사이트에 들어갈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신문이 없이도 살 수 있는 세상인가? 살 수야 있겠지만 지금보다 훨씬 살기 힘든 세상이 될 것이다.
신문은 일반상품이 갖고 있지 않은 특성을 갖고 있다.
바로 공익적 기능이다.
대부분의 상품은 구매당사자에게만 효용가치가 높다. 내가 겨울외투를 산다면, 그 덕을 보는 사람은 나 자신이다. 나의 외투로 인해 내 옆 사람이 따뜻해지지는 않는다.
그런데 신문의 효용은 구매자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 신문을 사보지 않는 사람들에게 더 큰 이익을 가져다준다. 예를 들어 신문에서 도심 신호등의 문제점을 지적해 차량흐름이 개선되었다면, 그 혜택을 입는 사람들은 신문독자만이 아니다. 그 지역 모든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이익이 돌아간다.
인터넷이 신문의 그런 공익적 기능을 대체할 수 있을까? 그럴 가능성은 희박하다. 사이버 공간을 공익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신문처럼 정기적으로 새로운 소식과 공익적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능을 하는 인터넷 사이트는 전세계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신문이 없다면 우리 생활은 더욱 힘들어진다. 그런데 그 점을 간과하고 있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물론 이 칼럼을 읽은 독자여러분은 예외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