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우리는 불꽃과 열기라고 표현할 만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촛불로 상징되는 정치적 변화라든지 신자유주의가 가져 온 돈과 사람의 관계들을 지켜보노라면 이것은 변방에 사는 서천군민으로서 내 두 발과 두 손의 영역을 이미 한참 벗어나 있다.
영화적 언어로 이야기하자면 스펙터클, 어드벤처, 블록버스터라 할 수 있겠는데, 우리가 쏟은 열정이 촛불이든, 가상화폐든 그 실체는 얼마나 공허한가? 모든 것을 불사르고도 남지만 손에 잡히는 것이 별로 없다. 여름의 짙푸른 녹음이 곧 튼실한 알곡을 의미하지 않듯 불꽃의 가운데는 텅 비어 있다. 넘나드는 불길을 잡아 우리 삶의 변화로 갈무리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여전히 구경꾼인데, 무대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간 구경꾼 정도라고밖에 할 수 없을 것이다.
하늘의 변화를 치열하게 예측하고 감지해서 농사를 짓듯이, 민주주의 제도와 정치 체제가 우리의 삶에 무엇을 남기고 어떤 방향의 변화를 가져올 것인지, 6월 13일 전국 동시 지방선거에서 우리는 어떤 답을 내 놓아야 한다.
우선, 하나의 중심과 모든 것이 변방으로 이루어져 있는 시대를 끝내야 한다. 중앙과 변방, 서울과 지방, 재벌과 서민의 관계에서 우리는 그동안 참 오래도 속아왔다. 단 한 번도 무대에 올라가 보지 못한 배우, 단 한 곡도 내 노래를 하지 못한 가수를 배우나 가수라고 할 수 없다면, 우리를 애써 국민이라고 이름 붙일 이유도 없다.
재벌의 큰 잔에 넘쳐흐르는 구정물만 쳐다보다가, 또는 서울의 번쩍이는 불빛이 더욱 밝아져 이 곳 서천까지 비추기만을 기다리다가 우리의 시대는 저물지도 모른다. 내일 모레 소멸을 이야기하는 지역에서 무슨 자원이 있냐고?
“모든 것이 척박하고, 내가 이것을 해결할 적임자다.”는 것이 선거 출마자들의 공통된 문법이지만, 개혁하고 혁명하기 위해 인구 육만의 동지가 결코 작은 숫자가 아니다. 선출직 공직자의 본분에 따라 군민의 뜻을 모으고 받들고자 한다면 동지로서 서천 군민들은 충분히 똑똑하고 능력있고 부지런하다. 보통, 못난 놈들이 동네 사람 욕하고 다니기 마련인데, 이것은 선거 이후의 정치인들에게서 배운 것이 분명하다.
내가 딛고 선 땅이 세상의 중심이라는 포부를 가진 구호와 정책들을 말하라. 바로 이곳에 무대를 세워야 한다. 여기가 세상의 중심이라고 외쳐야 한다.
갑오년 농민들은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되는지 경험한 적이 있다. 산골 초라한 초가집 호롱불 밑에 밥그릇, 국그릇 엎어놓고 써 내려간 사발통문처럼 오는 것이고, 호롱불보다 더 빛나는 눈빛으로 날개 달린 아기 장수를 상상하는 김서방, 이서방, 박서방, 최서방에게서 오는 것이다. 대책없이 오는 것이고, 갑자기 오는 것이고 이름없이, 또는 누구의 이름으로도 오는 것이다. 바로 이곳, 서천에 사는 사람들의 결심과 선택으로 세상은 또 한걸음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그 전에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 하나 더 있다. 구시대의 선거 구도와 헛바람과 빈 눈길, 감동없는 악수 등을 땅속 깊숙이 묻는 것인데, 6월 13일 민의의 장이 그런 것들의 무덤이 되길... 바로 그 자리에서 아직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설레임과 아직 해 보지 않은 일에 대한 상상의 힘으로 정말 멋진, 세상에 하나 밖에 없는 서천이 그려지길 진심으로 바란다.
<고침>
지난호 박자양 칼럼위원의 ‘스러지는 공공의식, 만신창이가 된 도서관 서적’ 뒷부분 문장 “호모데우스의 저자는 책의 전반에 걸쳐 꾸준히 인본주의의 한 분파격인 자유주의를 근현대를 주름 잡던 의식의 요체로 설명하고 있다.”를
“호모데우스의 저자는 책의 전반에 걸쳐 꾸준히 근현대를 주름 잡던 인본주의의 한 분파격인 자유주의를 다가올 시대를 장악하게 될 이데올로기에 견주어지는 의식의 요체로 설명하고 있다.”로 바로잡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