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서천은 지난 10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전국의 석탄화력발전소 주변을 살펴보는 기획취재에 나섰다. 그동안 서해안 두 곳, 남해안 두 곳, 동해안 한 곳을 돌아보았다.
한결같이 발전소는 인근 주민들의 증오의 대상이었다. 삼천포화력발전소가 있는 고성군 하이면 명덕마을 주민들은 이주비용청구소송을 벌이고 있었다.
기후위기가 날로 심각해져가고 있는 가운데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0년 배출량 대비 45%’를 줄여야 한다고 전문가들과 유엔에서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45%를 줄이려면 1992년 수준으로 돌아가야 한다. 1992년에 대한민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3억4천3백만톤이었는데, 그 때 수준으로 줄여야 45%를 줄이는 것이라 한다. 그런데 정부가 세워놓은 2030년 온실가스 배출 목표량은 5억 3600만톤이다. 이것은 2010년 배출량 대비 18.3% 줄이는 것에 불과하다. 유엔이 권고한 45% 감축에 훨씬 못 미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지난 10월 27일 국무회의에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의결했다. 여기에는 205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를 완전히 배제한다는 내용이 들어있다.
그러나 지난 6월부터 본격 가동한 신서천화력발전소를 곁에 둔 서면 주민들은 앞으로 30여년을 더 살아야 한다.
2016년 7월 신서천화력 착공식 때 당시 중부발전 사장은 “신서천화력은 최첨단 환경설비를 적용해 초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 배출을 국내 최저 수준으로 대폭 낮춰 환경과 기술이 조화된 우리나라 최고의 친환경 발전소로 만들겠다”고 말한 바 있다..
그 약속은 지금 어디로 갔는가. 발전소측이 앞장서서 환경 개선에 나서기를 기대하는 거은 어려울 것이다. 주민들 스스로 나서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사례를 당진화력발전소민간환경감시센터에서 보았다.
당진화력민간환경감시센터는 발전소 인접 지역에 대한 환경오염물질의 측정과 분석을 통해 발전소 사업장을 감시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데이터베이스를 온-오프라인으로 공개하고 있다.
당진화력민간환경감시센터는 국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다. 앞으로 서천에서이나 전국의 어느 석탄화력발전소에서든지 그 주변 주민들의 민간환경감시센터가 운영돼야 한다. 지역의 정치권 인사들은 이를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