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가을철, 서천갯벌에서 가락지 부착한 도요물떼새 조사 결과
■ 2023년 가을철, 서천갯벌에서 가락지 부착한 도요물떼새 조사 결과
  • 뉴스서천
  • 승인 2023.11.02 10:35
  • 호수 116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3년부터 11년 동안 같은 가락지 낀 도요새 반복 관찰

가락지·링 부착 도요물떼새 41일 동안 총 672회 관찰
▲사진1. 오른쪽 다리 상단에 노란색 가락지(KXJ)를 매단 큰뒷부리도요(9월 1일 촬영, 이종렬 사진)
▲사진1. 오른쪽 다리 상단에 노란색 가락지(KXJ)를 매단 큰뒷부리도요(9월 1일 촬영, 이종렬 사진)
▲사진2. 오른쪽 다리 상단에 노란색 가락지(LHN)를 매단 큰뒷부리도요(5월 13일 촬영, 주용기 사진)
▲사진2. 오른쪽 다리 상단에 노란색 가락지(LHN)를 매단 큰뒷부리도요(5월 13일 촬영, 주용기 사진)
▲사진4. 오른쪽 다리 상단에 흰색 가락지(3C)와 오른쪽 하단에 노색 링을 매단 넓적부리도요(9월 1일 촬영, 오승준 사진)
▲사진4. 오른쪽 다리 상단에 흰색 가락지(3C)와 오른쪽 하단에 노색 링을 매단 넓적부리도요(9월 1일 촬영, 오승준 사진)

지난 620일부터 1026일까지 가을철에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서 11일 동안 유색가락지와 링을 부착한 도요물떼새를 조사했다. 도요물떼새가 중국과 러시아 동북부에서 번식을 마치고서 월동지(비번식지)로 내려가기 위해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 도래하기 때문이다.

이번 가을철 조사에는 본인이 직접 관찰한 결과와 함께 이종렬 대표이사(한국물새네트워크), 오승준 학생(전남대학교)이 제공해 준 관찰 결과를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순서

날 짜

관찰한 개체수

순서

날 짜

관찰한 개체수

1

620

0

7

95

1

2

82

1

8

918

3

3

830

7

9

929

4

4

91

6

10

930

1

5

92

5

11

1026

0

6

94

2

총 관찰 횟수

30

<.1> 2023년 가을철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서 유색 가락지와 링을 매단 도요물떼새 관찰 개체수
* 참고 : 91일에는 이종렬과 오승준이 관찰했으며, 95일에는 이종렬, 918일에는 오승준이 관찰한 결과임

 

지난 620일에 조사를 했더니, 알락꼬리마도요 1200여 마리가 관찰되었다. 특이하게도 예년에 비해 남하해 온 도요물떼새가 조금 더 일찍 관찰된 것이다. 1026일까지 11일 동안 조사한 결과를 분석해 보면, 다리에 유색 가락지와 링을 부착한 도요물떼새는 총 30회 관찰되었다.

이 중에 1회 이상 관찰한 개체, 그리고 글씨가 새겨지지 않은 개체는 같은 개체인 것으로 분석한 결과,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는 큰뒷부리도요를 비롯해 전체 10종이었고, 개체는 24마리이었다. 이 도요물떼새 24마리는 각각 검은머리물떼새(Eurasian Oystercatcher) 2마리, 중부리도요(Whimbrel) 1마리, 큰뒷부리도요(Bar-tailed Godwit) 9마리, 붉은어깨도요(Great Knot) 2마리, 세가락도요(Sanderling) 1마리, 민물도요(Dunlin) 1마리, 꼬까도요(Ruddy Turnstone) 1마리, 뒷부리도요(Terek Sandpiper) 3마리, 좀도요(Red-necked Stint) 1마리, 넓적부리도요(Spoon-billed Sandpiper) 1마리이었다. 추가로 관찰된 넓적부리도요(Spoon-billed Sandpiper) 2마리는 가락지를 부착하지 않았고, 각각 어른새 1마리와 어린새 1마리이었다.

올해 봄철과 가을철에 반복해서 관찰된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는 큰뒷부리도요 5마리, 민물도요 1마리 등 총 6마리이었다(<.2>).

유부도갯벌에서 지난 91일 오승준 학생이 관찰한 넓적부리도요 3마리 중에 1개체는 오른쪽 다리 상단에 흰색 가락지(3C)와 오른쪽 다리 하단에 노색 링을 매달았다(<사진.4>). 이 새는 2020823일과 2021921일에도 관찰된 바 있는데 올해로 3년생이 되었다.

번호

종명

식별번호 및 유형

기타

1

큰뒷부리도요

오른쪽 다리 상단에 노란색 가락지(KXJ)

사진.1

2

큰뒷부리도요

오른쪽 다리 상단에 노란색 가락지(LHN)

사진.2, 사진.3

3

큰뒷부리도요

오른쪽 다리 상단에 노란색 가락지

 

4

큰뒷부리도요

오른쪽 다리 상단에 검은색 가락지와 녹색 가락지

 

5

큰뒷부리도요

오른쪽 다리 상단에 검은색 가락지와 노란색 가락지(V7)

 

6

민물도요

오른쪽 다리 상단에 검은색 가락지와 노란색 가락지

 

<.2> 2023년 봄철과 가을철에 반복해서 관찰된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

한편 2013년 가을철부터 2023년 가을철까지 11년 동안 반복적으로 가을철에 관찰된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를 분석해 보니, <.3>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이 중에 오른쪽 다리 상단에 노란색 가락지(LHN)를 매단 큰뒷부리도요는 4년간(2018년 가을철, 2020년 가을철, 2022년 가을철, 2023년 가을철), 오른쪽 다리 상단에 노란색 가락지(KXJ)를 매단 큰뒷부리도요는 3년간(2019년 가을철, 2020년 봄철, 2022년 가을철, 2023년 가을철) 관찰되었다.

구분

4년간

3년간

2년간

1년만

총 개체수

개체수

1

1

1

19

22

<.3> 2013년 가을철부터 2023년 가을철까지 11년 동안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서 반복적으로 봄철에 관찰한 글씨가 새겨진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 개체수
*참고 : 글씨가 새겨지지 않은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 : 13마리

 

참고로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서 올해 봄철(32일부터 523일까지)에 북상해 온 도요물떼새를 41일 동안 조사한 결과, 유색 가락지와 링을 부착한 도요물떼새를 총 672회 관찰했고, 10종에 313개체이었다. 이에 대해 뉴스서천 202368일자에 보도한 바 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