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은 공공의 이익이다.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이나 사적(私的) 이익에 대해 그 사회의 전 구성원에 관계되는 공통의 이익을 말한다. 공익은 공공의 합의라고도 할 수 있다. 한 사회의 정책결정과정에 압도적인 다수가 일치된 견해를 갖는다면 공공의 합의 즉 공익이 성립됐다고 볼 수 있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의 발달 정도는 이러한 공익적 요구가 어느 정도 실현되느냐에 척도를 두고 있다. 공익의 실현을 위해서는 구성원들간의 호혜평등에 입각한 합의가 이뤄졌을 때 가능해진다.
서부교통은 서천의 대중교통으로 유일하게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우리 지역에 버스가 생긴 60년대부터 지금까지 40여년을 우리의 다리 역할을 한 것이다. 이처럼 군민의 다리 역할을 한 공과는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서부교통의 지금의 행태를 보면 군민의 다리를 잘라 놓은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 걱정이다. 더욱 화가 치미는 것은 그 대상자 대부분이 노약자와 학생이기 때문이다. 어느 경영자의 말대로 7년전 만 해도 수입이 짭짤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30년을 넘게 차주들은 이익을 챙겨 왔다는 얘기가 된다.
어떤 측면에선 공공성을 담보로 또 군민의 발을 담보로 특혜를 받아 왔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지금 경영의 악화로 못하겠다고 버티는 것은 공공성과 공익성을 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야 한다.
특히 지난 30년이 넘게 노동자들에 의해서 그 이득을 얻었다면, 어느 정도는 노동자들의 몫으로 돌려야 한다. 다 아는 사실이지만 그간 노동자들은 빠듯한 봉급 이외엔 혜택 받은 것이 없다. 최근에 노사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자 군에서 협상을 제안 했다고 한다.
즉, 중간점을 타협안으로 했다고 하는데 경영 측에서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한다. 경영자 측이 만에 하나 군민의 발을 담보로 노사협의로 이용하고 있다면 천벌을 받아 마땅할 것이다. 지금 파업이 장기화 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주민의 대표기관인 의회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특히 나군수는 상황이나 제대로 파악을 하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얼마 전 협상 테이블에는 부군수가 대표로 나왔다고 했다. 물론 군수가 모든 일을 다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군민의 발을 담보로 하고 있는 대중교통의 일은 나군수가 직접 나서야 되지 않을까? 나소열 군수와 의회는 하루빨리 대중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모색해야 한다.
지금 마을 단위 행사나 다니면서 악수할 땐가?
저작권자 © 뉴스서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