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성지 / 서울안과 원장 | ||
여기에는 망막의 파열된 부분(열공)을 통해서 액체가 들어가서 망막박리가 일어나는 경우인 열공성 망막박리, 여러 원인에 의해서 안구 내에 견인력이 발생하여 망막을 당겨서 망막박리가 일어나는 경우인 견인성 망막박리, 망막과 맥락막의 여러 질환에 의해서 망막하에 액체가 고이는 것인 삼출성 망막박리가 있다.
망막박리를 그대로 놔두면 안구가 찌그러지거나 완전한 시력상실의 우려가 있다.
대부분의 열공성 망막박리는 한 개 이상의 망막열공에 의해서 유발된다. 유리체는 안구의 중심을 채우는 투명한 젤리 같은 조직이다.
유리체는 부분적으로 망막에 심하게 유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착된 부위가 유리체가 수축될 때에 망막을 잡아당겨 망막의 열공을 유발할 수 있다.
유리체의 수축은 나이가 들면서 저절로 발생하여 대개는 망막에 이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고도근시, 염증 혹은 안외상에 의해 유리체의 수축을 일으키기도 한다.
대부분의 열공성 망막박리는 이 질환이 발생하기 전에 유리체의 변화가 선행되며 망막의 열공이 발생되면 유리체 내의 액체가 망막열공을 통하여 망막하부로 흘러 들어가 망막이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떨어진 망막은 기능을 못하여 시력이 흐려지며 부분적으로 보이지 않아 마치 커튼이 처진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그 외 망막박리는 안구의 종양, 심한 염증, 또는 당뇨망막병증의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이차적으로 발생한 망막박리는 망막의 열공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망막박리을 일으킨 질환을 치료하여 망막을 정상적인 위치로의 재유착을 이루게 된다.
중년 및 노년의 사람에게서 눈앞에 까만 점 같은 것이 떠다니고(비문증) 플래시 불이 번쩍이는 듯한(광시증. 섬광증)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대개는 이러한 증상이 큰 문제가 없으나 이러한 현상이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에는 드물지 않게 유리체의 수축으로 말미암아 심하게 유착된 망막이 찢어져 열공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가능하면 빨리 유리체 및 망막 상태를 관찰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망막열공을 일찍 발견하게 되면 큰 수술 없이 레이저광응고술이나 냉동 응고술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치료원칙은 망막의 손상이 적을 때 될수록 빨리 수술적 치료를 하여 박리된 망막을 제자리에 재유착시켜 시력을 보존하고 손상된 시야를 회복시키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뉴스서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